Nostalgia
...........................................................................................................................................


2016. 6.10-7.16, Gallery Mark

In contrast to the ‘outwardly’ reality of the goods of post-war consumer capitalism, which was recreated in the 1960s Photorealism through hyper-realist depictions of the tempting objects shown in the downtown stores and advertisements, the image of reality through a photographic gaze is no more than trompe-l’oeil, or a simulacra. Objective and realistic representations depicted with persuasion by a trained artist reveals the latent socio-cultural metaphors and artist’s view on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of living and experiencing modern day life.

By observing and sketching urban life in the 21st century Manhattan through a Baudelairesque fl?neur’s of view, Won Kang Cho’s works are a depiction of fluid yet instant moments, using paint as a crucial medium in documenting city life and therefore effectively expressing the objectivity of testimony through the use of photography. His past works have focused on capturing pedestrians in the city in daylight from their canine companions’ point of view. The low-angle cityscape that underlined the psychological connection between man and dog completely excluded a sense of time stands in stark contrast to Cho’s newly introduced series, which shows a series of single images containing various overlapped snapshots of memories. Such experience can be likened to films when a character is reminiscing his/her past and a series of scenes become a sequence of a single moment captured on screen defying both time and space. In order to depict temporality realistically, this newly attempted lenticular transformation borrows perspective from streets, footsteps of pedestrians and pets emerging from subway stations, and city dwellers using layers of linear silhouettes creating an illusion of perspective as well as providing an optical illusion of space and movement in the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dog seems to be a common sight in large city settings. Bleak, empty urban landscapes lacking emotional rapport and human interaction was often the subject of 1930s and 40s American Regionalist art and 1970s and 80s Conceptualist art, which can be seen in Jan Staller’s “New Colour.” Edward Hopper, known for his love-hate relationship when depicting the streets of New York, once said that the buildings in New York, a mixture of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are with hideous beauty. In a similar vein, many artists and photographers that deal with New York as a subject of their work focus on modern day materialism, philistinism values, and emptiness of human existence when various races and walks of life come face to face with the unforgiving urban life. A sort of vacuum is formed through the eyes of a nightwalker on the stage that is New York. At first glance, the 350 Bleeker series, which includes three pieces depicting empty and silent night scenes lit by a densely packed city space is reminiscent of American Realist art. The audience is encouraged to follow the observer’s perspective, which leads them to a static interior filled with empty chairs and paintings on walls, a senior seeking rest, and people stepping inside captured simultaneously by the lens of a camera. Unlike the bustling daytime in the city, a barrier is created between the artificially lit underground coexisting with the stillness of the night along with the viewer’s existence and the building’s interior from a photographic perspective, heightening the mood of solitude. The emotional exchange between man and animal is lost, replaced by an interior decorated with mass media based Pop Art style paintings. The visual confusion that comes from the faintly flashing billboard past the dim lights in the room can be seen not only as an example of the alienation between man and materialism within civilisation but also as a reference to emptiness. The segmented frame offers the audience an illusory yet authentic experience both visually and emotionally through the effect of photorealism. Similar to images in media culture sent out by anonymous observers, the composition of the frame offers fragments of reality and fiction in the urban life.

Rim, Hye Song


1960년대 포토리얼리즘(Photorealism)회화에서 도심상점과 광고속의 유혹적 오브제들의 극사실적묘사를 통해 전후 소비자본주의의 상품들의 ‘외양적’ 리얼리티가 재생산되었다면, 사진적 응시를 통한 실재의 환영은 단순한 눈속임, 실재의 시뮬라크라에 불과하다. 작가가 실재로 살아가고 경험하고 있는 현재세계에 대한 객관적, 사실주의적 묘사는 고도로 숙련된 화가의 설득력 있는 방식을 통해 표현대상 내면에 잠재된 사회, 문화적인 은유와 작가의 응시를 담아 낼 수 있다.

도시를 관찰하고 스케치하는 보들레르(Baudelaire)식 만보가(fl?neur)의 시각으로 21세기 맨하탄 한복판의 도시인의 삶을 묘사하는 조원강의 작업에서, 카메라는 유동적이고 순간적인 삶의 단편들을 생생한 화보처럼 기록해내는 중요한 매개물로서 사진의 객관적 사실 증언능력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이전 작업에서 주로 한낮의 도심을 활보하는 사람들과 이들에게 이끌려 가는 동물-개-의 눈높이에서 포착된 저(底) 시점의 풍경이 인간과 동물간의 심리적 유대감에 초점을 맞춘데 반해, 이번 전시에 새롭게 소개된 작업에서는 시간성이 배제된 듯한 정지된 스냅 샷의 시점과 달리 이전에 포착되거나 과거에 지나가버린 피사체의 움직임들을 하나의 화면속에 오버랩 시킴으로서 마치 영화에서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에서 나타나는 지나간 순간의 영상들이 겹쳐지는 것과 같은 시공간의 시퀀스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간성의 표현을 위해 새롭게 시도한 렌티큘러(lenticular)의 변환, 원근기법의 차용은 거리와 지하철 구내에서 앞서 지나간 보행자와 반려동물의 자취, 현시점에서 포착된 도시민들의 사실적 표현과 선형적 실루엣들이 여러 겹의 레이어로 중첩되면서 원근법적 환영을 일으킴과 동시에 화면에 공간감과 움직임의 착시효과를 제공한다.

인간과 개들의 관계에서 유대감을 찾는 도시인들의 풍경은 대도시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현상인 듯 보인다. 인간적 상호교류을 통한 정서적 교감이 느껴지지 않는 삭막한 도시풍경을 소재로 한 1930, 40년대 미국지방주의 회화나 1970, 80년대 잰 스텔러(Jan Staller)의 ‘뉴 컬러사진’에 나타난 텅 빈 풍경은 미국 구상미술의 단골 소재였다. 뉴욕의 거리를 애증어린 시각으로 묘사해온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각종 양식의 혼합체인 뉴욕의 건물은 오싹할 정도로 아름답다”는 표현처럼, 많은 뉴욕을 소재로 다룬 화가, 사진작가들이 현대의 물질본위주의, 속물주의적 가치, 다양한 인종과 삶의 방식이 교차하는 냉혹한 도시풍경과 마주칠 때 느끼는 인간존재의 공허감, 일종의 진공상태가 밤의 뉴욕이라는 무대 위에서 야간 산책자의 시각을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얼핏 보기에는 아메리칸 리얼리즘풍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텅 빈 정적미가 흐르는 밤의 환하게 불 켜진 도심의 밀폐된 공간을 보여주는 세 점의 실내풍경 시리즈 350 Bleeker는 관찰자-화가-의 응시를 쫒아가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의 시선을 정적미가 흐르는 실내의 빈 의자와 벽에 걸린 그림들, 휴식을 취하는 노년의 입주자, 건물로 막 들어서려는 사람들을 포착하는 카메라 렌즈와 동일한 시간적 흐름으로 보여준다.

낮의 활발한 움직임과 대비되는 지하철 내부의 인공조명이 밤의 정체된 도심 풍경과 함께 관찰자의 현존공간과 사진적 시각으로 포착되어 묘사된 건물내부공간과의 경계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 지으면서 소외감을 한층 더 배가시키고, 인간과 동물의 정서적 교류와 달리, 매스 미디어적 요소가 강조된 Pop Art풍의 그림이 걸려있는 실내와 어두운 조명 뒤로 희미하게 반짝이는 광고판의 시각적 혼돈감은 도시문명속의 인간과 물질간의 소외감, 공허감의 지시물로 볼 수 있다. 사진적 사실주의 효과를 통해 기계적 매개체가 구획지은 프레임 안에서 관찰자와 관객들이 마치 직접 경험한 것과 같은 시각적, 감성적 착시를 일으키는 화면 구성은 익명의 관찰자가 전송하는 미디어 사회의 스크린 속 영상과 닮은 방식으로 도시적 삶 속의 리얼리티와 허구의 단편들을 송신해준다.

2016. 6.25 미술이론 임혜송

Nostalgia
...........................................................................................................................................


2016. 6.10-7.16, Gallery Mark

In contrast to the ‘outwardly’ reality of the goods of post-war consumer capitalism, which was recreated in the 1960s Photorealism through hyper-realist depictions of the tempting objects shown in the downtown stores and advertisements, the image of reality through a photographic gaze is no more than trompe-l’oeil, or a simulacra. Objective and realistic representations depicted with persuasion by a trained artist reveals the latent socio-cultural metaphors and artist’s view on the subject of the experience of living and experiencing modern day life.

By observing and sketching urban life in the 21st century Manhattan through a Baudelairesque fl?neur’s of view, Won Kang Cho’s works are a depiction of fluid yet instant moments, using paint as a crucial medium in documenting city life and therefore effectively expressing the objectivity of testimony through the use of photography. His past works have focused on capturing pedestrians in the city in daylight from their canine companions’ point of view. The low-angle cityscape that underlined the psychological connection between man and dog completely excluded a sense of time stands in stark contrast to Cho’s newly introduced series, which shows a series of single images containing various overlapped snapshots of memories. Such experience can be likened to films when a character is reminiscing his/her past and a series of scenes become a sequence of a single moment captured on screen defying both time and space. In order to depict temporality realistically, this newly attempted lenticular transformation borrows perspective from streets, footsteps of pedestrians and pets emerging from subway stations, and city dwellers using layers of linear silhouettes creating an illusion of perspective as well as providing an optical illusion of space and movement in the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dog seems to be a common sight in large city settings. Bleak, empty urban landscapes lacking emotional rapport and human interaction was often the subject of 1930s and 40s American Regionalist art and 1970s and 80s Conceptualist art, which can be seen in Jan Staller’s “New Colour.” Edward Hopper, known for his love-hate relationship when depicting the streets of New York, once said that the buildings in New York, a mixture of various architectural styles, are with hideous beauty. In a similar vein, many artists and photographers that deal with New York as a subject of their work focus on modern day materialism, philistinism values, and emptiness of human existence when various races and walks of life come face to face with the unforgiving urban life. A sort of vacuum is formed through the eyes of a nightwalker on the stage that is New York. At first glance, the 350 Bleeker series, which includes three pieces depicting empty and silent night scenes lit by a densely packed city space is reminiscent of American Realist art. The audience is encouraged to follow the observer’s perspective, which leads them to a static interior filled with empty chairs and paintings on walls, a senior seeking rest, and people stepping inside captured simultaneously by the lens of a camera. Unlike the bustling daytime in the city, a barrier is created between the artificially lit underground coexisting with the stillness of the night along with the viewer’s existence and the building’s interior from a photographic perspective, heightening the mood of solitude. The emotional exchange between man and animal is lost, replaced by an interior decorated with mass media based Pop Art style paintings. The visual confusion that comes from the faintly flashing billboard past the dim lights in the room can be seen not only as an example of the alienation between man and materialism within civilisation but also as a reference to emptiness. The segmented frame offers the audience an illusory yet authentic experience both visually and emotionally through the effect of photorealism. Similar to images in media culture sent out by anonymous observers, the composition of the frame offers fragments of reality and fiction in the urban life.

Rim, Hye Song


1960년대 포토리얼리즘(Photorealism)회화에서 도심상점과 광고속의 유혹적 오브제들의 극사실적묘사를 통해 전후 소비자본주의의 상품들의 ‘외양적’ 리얼리티가 재생산되었다면, 사진적 응시를 통한 실재의 환영은 단순한 눈속임, 실재의 시뮬라크라에 불과하다. 작가가 실재로 살아가고 경험하고 있는 현재세계에 대한 객관적, 사실주의적 묘사는 고도로 숙련된 화가의 설득력 있는 방식을 통해 표현대상 내면에 잠재된 사회, 문화적인 은유와 작가의 응시를 담아 낼 수 있다.

도시를 관찰하고 스케치하는 보들레르(Baudelaire)식 만보가(fl?neur)의 시각으로 21세기 맨하탄 한복판의 도시인의 삶을 묘사하는 조원강의 작업에서, 카메라는 유동적이고 순간적인 삶의 단편들을 생생한 화보처럼 기록해내는 중요한 매개물로서 사진의 객관적 사실 증언능력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이전 작업에서 주로 한낮의 도심을 활보하는 사람들과 이들에게 이끌려 가는 동물-개-의 눈높이에서 포착된 저(底) 시점의 풍경이 인간과 동물간의 심리적 유대감에 초점을 맞춘데 반해, 이번 전시에 새롭게 소개된 작업에서는 시간성이 배제된 듯한 정지된 스냅 샷의 시점과 달리 이전에 포착되거나 과거에 지나가버린 피사체의 움직임들을 하나의 화면속에 오버랩 시킴으로서 마치 영화에서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에서 나타나는 지나간 순간의 영상들이 겹쳐지는 것과 같은 시공간의 시퀀스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간성의 표현을 위해 새롭게 시도한 렌티큘러(lenticular)의 변환, 원근기법의 차용은 거리와 지하철 구내에서 앞서 지나간 보행자와 반려동물의 자취, 현시점에서 포착된 도시민들의 사실적 표현과 선형적 실루엣들이 여러 겹의 레이어로 중첩되면서 원근법적 환영을 일으킴과 동시에 화면에 공간감과 움직임의 착시효과를 제공한다.

인간과 개들의 관계에서 유대감을 찾는 도시인들의 풍경은 대도시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현상인 듯 보인다. 인간적 상호교류을 통한 정서적 교감이 느껴지지 않는 삭막한 도시풍경을 소재로 한 1930, 40년대 미국지방주의 회화나 1970, 80년대 잰 스텔러(Jan Staller)의 ‘뉴 컬러사진’에 나타난 텅 빈 풍경은 미국 구상미술의 단골 소재였다. 뉴욕의 거리를 애증어린 시각으로 묘사해온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각종 양식의 혼합체인 뉴욕의 건물은 오싹할 정도로 아름답다”는 표현처럼, 많은 뉴욕을 소재로 다룬 화가, 사진작가들이 현대의 물질본위주의, 속물주의적 가치, 다양한 인종과 삶의 방식이 교차하는 냉혹한 도시풍경과 마주칠 때 느끼는 인간존재의 공허감, 일종의 진공상태가 밤의 뉴욕이라는 무대 위에서 야간 산책자의 시각을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얼핏 보기에는 아메리칸 리얼리즘풍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텅 빈 정적미가 흐르는 밤의 환하게 불 켜진 도심의 밀폐된 공간을 보여주는 세 점의 실내풍경 시리즈 350 Bleeker는 관찰자-화가-의 응시를 쫒아가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의 시선을 정적미가 흐르는 실내의 빈 의자와 벽에 걸린 그림들, 휴식을 취하는 노년의 입주자, 건물로 막 들어서려는 사람들을 포착하는 카메라 렌즈와 동일한 시간적 흐름으로 보여준다.

낮의 활발한 움직임과 대비되는 지하철 내부의 인공조명이 밤의 정체된 도심 풍경과 함께 관찰자의 현존공간과 사진적 시각으로 포착되어 묘사된 건물내부공간과의 경계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 지으면서 소외감을 한층 더 배가시키고, 인간과 동물의 정서적 교류와 달리, 매스 미디어적 요소가 강조된 Pop Art풍의 그림이 걸려있는 실내와 어두운 조명 뒤로 희미하게 반짝이는 광고판의 시각적 혼돈감은 도시문명속의 인간과 물질간의 소외감, 공허감의 지시물로 볼 수 있다. 사진적 사실주의 효과를 통해 기계적 매개체가 구획지은 프레임 안에서 관찰자와 관객들이 마치 직접 경험한 것과 같은 시각적, 감성적 착시를 일으키는 화면 구성은 익명의 관찰자가 전송하는 미디어 사회의 스크린 속 영상과 닮은 방식으로 도시적 삶 속의 리얼리티와 허구의 단편들을 송신해준다.

2016. 6.25 미술이론 임혜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