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aze: Feeling a Sense of Attachment, Forming a Narrative
...........................................................................................................................................


2021. 6.6 - 7.3 Gallery Gong

Cho Won Kang is an artist who, despite heading into his mid 60s, does not cease to actively create works. We may call him an everlasting active-duty personnel. I have always been envious of his fervour. Come to think of it, the word “despite” is not appropriate in this instant. Almost all great artists are known to have continued painting until the end of their days, erupting like a volcano and releasing all that they had left in them to their art. Likewise, Cho too will continue to dedicate everything to his practice. It is quite natural for him to work so meticulously and tenaciously. In the past, he devoted himself to his practice as though he were a modernologist. One can describe him as ‘an iron hand in the velvet glove’. He struggled to confront the world which he was to bring to life through his works while maintaining a soft and elegant attitude. His subtle demeanour is an obvious result of this.

His ability to concentrate and be immersed in his practice is second nature to him. Therefore, to say that this comes naturally is not an overstatement. Looking back, he seems to have begun developing these characteristics around the time he entered college, when he first came face to face with painting in earnest. We indulged in our youth. We poured out frivolous nonsense about art and literature, stumbling in tears for no reason. While we welcomed our youth with vigour, we were insecure and weak on the inside. Pain and suffering persisted beneath the poor and fragile reality of the oppressive society at the time. It was a time in which people had to take action to take a new leap towards the future; but instead, were staggering around aimlessly. However, in these trying times, Cho continued to grow through drawing. While I was at the threshold, wandering around without purpose and wasting precious time, he continued to, and even today continues to stride forward.

I apologise for the lengthy introduction ahead of discussing the works of Cho. If anything, please understand it as a testament to our friendship. In fact, our friendship is what motivated me to write this text. I have always dreamt of writing about his works, and dare I say that I am now ready to do so. For context’s sake, I want to go back a couple of years, to Cho’s solo exhibition “The Gaze and The Artistic Masterpiece” (5.23-6.22, 2019), which took place at Gallery Mark, Seoul. The works on view included landscapes that the artist had translated from photographs, taken during his time in New York, to paintings. He captured various scenes with his camera, as though he were a hunter in search of prey. He tenaciously observed and absorbed his surroundings. Cho breathed life into dry, digitised still cuts of narrow New York alleyways and colossal museums through the warmth of layered oil paints. At first, I was overwhelmed at the sight of these works. I had to confront a sense of alienation that I could, in no way, fathom. How odd, I thought. Why had this rush of loneliness flooded over me, when the paintings depicted the congested streets of New York and crowded museums, filled to the brim with artworks and visitors?

The first thing that struck my heart was the fact that the scenes in the paintings were from times gone by. Those moments no longer exist in the present, yet I transport back in time through the paintings presented before me. What are they doing now? Are they still smiling? Perhaps they are suffering from an illness? The people, once roaming the museums and streets of New York, are now preserved within the frame of the canvas as static figures. Absent in the present, present in the past?the presence of absence. The extremity of this irony is what caused the arousal of alienation. As such, I am positioned in a postmodern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present and past, reality and fiction are no longer evident. I found myself at an intersection of image within image, that is text within text, experiencing a strange amalgam of absence and presence as well as reality and fiction. Appearing within the paintings is a collage of scenes: visitors stealing glances, artworks staring back at observant visitors, and artworks in juxtaposition with each other. There are as many narratives, as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gazes, being shared. However, these narratives exist in a vacuum, evoking a peculiar sense of loneliness. In other words, the author conserved the moments of the past, as vacuum-packed and transparent. The artist presents a certain emptiness through the absence of existence.

Even without mentioning Jacques Lacan’s theory of the gaze, Cho’s paintings?the painting of Edgar Degas’ “The Little Fourteen-Year-Old Dancer” (the girl facing away from the camera) in particular?clearly indicate ‘the viewer’ and ‘the viewee’. Through his paintings, Cho delivers the complex intersection of multiple viewpoints. The painting of Degas’ sculpture shifts the attention to the two onlookers listening to their audio guides (the dancer is either conscious of or indifferent to their gaze). In 2019, visitors of Gallery Mark observe, or are met with, the two men gazing at the dancer. The way that Cho delivers a narrative in his paintings can be likened to the process of storytelling. I am remind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artist (Cho), the implied spectator (the two men in the painting), and the actual spectator (me). Cho captures the scenes that he has taken in the past with his camera, through the gaze of the implied artist (the eye of the camera).

This reproduced image is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gazes exchanged between the actual artist, the actual spectator, and the implied spectator. The two men glance at Cho as he photographs them. In 2019, the visitors follow the gaze of these two men to either grasp the artist's intentions or to read the work independently. The gaze of the artist, of the camera, and of the current viewer standing in front of the painting, intersect. Where the gaze goes, the mind goes, and there, a narrative is born. The narrative slips through the gaze exchanged between the artist, the two men in the painting, and the visitors. For this reason, Cho’s works are reminiscent of a postmodern narrative.

As Cho stole a glance at the two men through his camera lens, the two men may have simultaneously stolen a glance at the artist. What is certain in that moment, is that the statue of the dancer acted as a mediator. Later, Cho recreates this moment as a painting. This makes me wonder, why, of all photos, did he choose to use this photo as the subject of his painting? What is the thought process behind interpreting a photograph with a paintbrush after the passing of that specific moment? When reproducing the past that has been captured by a camera into a painting, the artist traverses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gaze deconstructs time and space. The subject of the painting, brought to life with a paintbrush, gazes back at the painter. The hierarchy between ‘the viewer’ and ‘the viewee’ disappears. The figures in the painting are both the subject (seeing) and the object (being seen). Therefore, they exchange gazes equally. Cho’s paintings infinitely disconnect and connect with the past. For this reason, time and space inevitably create a divid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crevice between these fissures is deeper than the abyss. I, the viewer, am trapped within. The artist’s gaze, the gaze of the viewers appreciating a work of art in his painting, the gaze of the work of art looking back at the viewers, and my observant gaze. I have found that one can either get lost or find comfort within this exchange of gazes.

This exchange can also be found in the artist’s most well-known works, which depict dogs and dog owners. The artist illustrates dogs and dog owners wandering around the streets of New York. Usually gaz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owner and the dog are strongly connected by the leash. The artist shows the companionship of countless dogs (different breeds of dogs) and dog owners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race) in exquisite detail through various materials (watercolour, oil, etc.) and techniques. The diversity of colours and composition is simply amazing?full of vitality. The works are each at eye level in relation to the dogs. No such composition has existed prior to this. Since everything is set from the dog's point of view, the owners can only be seen from the chest down. Almost as though they are anonymous figures. These anonymous figures take their dogs for a walk through the city, accompanying them in the direction they are heading. There may be a fixed destination, or the pair may be wandering aimlessly like the wind. They are bound by love and trust without prejudice. The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interaction happens when the owner is standing still, the moment the owner stops to greet someone else, or simply stops walking for a while. In this moment, the dog begins to observe its surroundings for reasons unknown. Perhaps it is a desire for protection and vigilance, or a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other dogs. It must be for this reason that its gaze moves beyond the direction in which its owner is facing.

Unfortunately, upon introducing one of my personal favorites from the “Relationship” series, I must come to a close. A dog inquisitively observes the bottom of a large concrete pillar. The artist catches even the smallest detail from this scene, capturing the small white speck marking the tip of the dog’s wagging tail. The dog sniffs around to gather information, quickly recognizing the scent of a friend or neighbor who has just passed by and left a mark. The hand that holds tightly onto the leash reveals that the owner is waiting patiently for the dog. The owner’s bright red t-shirt perfectly complements the red signage located above a dark blue flowerpot to his left. The sign, appearing to be growing from the flowerpot, resembles a tree. As a result, the painting is strangely divided. The grey concrete pillar on which the dog's sense of smell is in full forc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hile the wooden signag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Despite the coincidental composition,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ainting function as stage props that center, protect, and unite the owner and the dog. The rigidity of the scene is alleviated by the figures walking behind them, suggesting that another story is unfolding in the direction that these figures are headed. The tense gaze of the viewer extends comfortably beyond the edge of the canvas. Countless stories are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dogs, and dogs and dogs.

At last, these characters were able to come together in Cho’s solo exhibition “Relationship” (2021) at Gong Gallery. The installation piece, spanning 10 meters in width, fills an entire wall of the exhibition space. Dog owners as well as passers-by are found enjoying various moments of their day to day, from cycling, to setting up an easel to paint, to feeding birds. Of course, the dogs also feature as main characters. Dog owners can be seen going for walks with their dogs and greeting other dog owners. Cho recreates the beauty and warmth of everyday life. Albeit grand in size, this panoramic landscape, which captures mundane and ordinary scenes that could go unnoticed with a loving gaze, is not at all overbearing. Rather, this large-scale work can be seen as monumental in testifying to the artist’s will to take a step forward in his practice. Looking at Cho’s work, I could not hide my smile as it spread over my face as I await to see what more he has in store for us.

Cho Won Kang? we pray that he continues to make art, and to continue bringing joy to those that encounter his art.

Cho Young Hoon(Art Critic)

시선, 마음이 가고 이야기가 생성된다
...........................................................................................................................................


2021. 6.6 -7.3, Gallery 공

60세 중반을 돌진하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왕성하게 작업하는, 영원한 현역, 조원강, 그가 늘 부럽다. ‘불구하고’라는 표현은 사실 적절치 않다. 유명세를 구가한 화가들의 대부분은 수명이 다하는 직전까지 붓을 놓지 않았다. 창작 욕구를 끝내 멈추지 않았고 오히려 활화산처럼 토해내고 발산했다. 조원강, 그 역시, 앞으로도 언제나 현재진행형일 것이다. 이토록 그가 집요하고 활달하게 그리고 치밀하게 작업에 몰두하는 것은 가히 생래적이다. 그동안 그는 고현학자처럼 묵묵히 작업에 전념해 왔다. 외유내강 같은 것. 그러니까 그의 내면은 그가 조형할 세계와 대면해서 치열하게 투쟁하지만, 부드럽고 기품있는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래서 그의 성정은 은연하다.

그의 몰입과 집중은 습관보다 오래됐다. 그러므로 생래적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는, 돌이켜 보면, 우리가 풋풋한 청년임을 선포할 무렵, 그러니까 그가 본격적으로 회화와 정면승부한 대학 때부터 비롯됐다. 그때 우리는 호기롭게 젊음을 만끽하거나 혹은 그저 탕진했다. 문학과 예술에 대해 치기어린 허언을 쏟아내고 까닭없이 눈물을 흘리며 엉거주춤했다. 혈기 왕성하게 젊음을 맞이했으나 실상 내면은 허약했고 부실했다. 억압적 사회, 그리고 슬프고 허약한 내면은 차라리 궁색했다. 비례해서 상처투성이의 시간이 계속됐다.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 문턱을 넘어야 했으나 힘에 부쳐 어물쩍거리며 배회했다. 그 시절, 그는 그리고 또 그리며 성장했다. 내가 경계에서 갈팡질팡할 때 그것조차 힘에 부쳐 엉거주춤 아까운 시간을 낭비할 때, 그는 늘 멋지게 앞으로 나아갔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도, 아니 앞으로도 진행형일 것이다.

그의 그림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에 앞서 이토록 서두가 긴 것을 용서하시라. 우정에 대한 표시로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이 글을 쓰게 된 동기 역시 이런 오랜 관계에서 비롯됐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그리고 언젠가 그의 작품을 더욱 알게 되면, 그때는 그 소감을 글로 남기고 싶었다. 그리고 감히 용기를 냈다. 얘기하자면 이렇다. 시간은 2년 전으로 소급한다. 마크 갤러리에서 그의 그림이 전시(<시선과 명화>(5.23-6.22, 2019))됐다. 전시작은 그가 뉴욕에 상주하면서 카메라로 포착한 다양한 풍경을 화면에 옮긴 것이다. 그러니까 그는 카메라를 들고 사냥꾼처럼 풍경을 포집했다. 집요하게 주변을 응시했고 갈증 난 짐승처럼 벌컥벌컥 흡수했다. 그가 카메라로 포착한, 그토록 많은 뉴욕의 거리 구석구석과 거대한 미술관 내부가 마침내 유화로 재현됐다. 건조하고 투명한 디지털은 따뜻한 유화로 생명을 얻었다. 전시장을 가득 채운 그 그림 앞에서 매우 아찔했다. 알 수 없는 지독한 소외와 대면했기 때문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그의 작품 속에는 거리를 걷는 수많은 인파뿐만 아니라 뉴욕의 미술관 관람객, 그리고 예술 작품으로 가득한데 극도의 외로움이라니.

가장 먼저 가슴을 저미게 한 것은 그림에 재현된 풍경이, 이미 오래 전 과거라는 사실이다. 그들은 지금 여기 없다. 그런데 그림에 등장해서 나와 만난다. 그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미소를 잃지는 않았을까. 혹시 병으로 고통받고 있지는 않을까. 한때는 뮤지엄과 뉴욕 거리를 산보했던 그들은 이렇게 정지된 상태로 프레임 안에 소환됐다. 부재하나 그들은 그때 현존했었다. 이른바 부재의 현존. 그 극도의 아이러니가 소외를 유발한 것이다. 이처럼 현재와 과거,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사라진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 나는 위치한다. 그림 속 그림, 그러니까 텍스트 속의 텍스트, 부재와 현존, 실재와 허구가 넘나드는 묘한 경험과 마주했다. 그림 속에 등장해서 시선을 주고받는 사람들 그리고 자신을 응시하는 관람객을 곁눈질하는 작품들. 더해서 작품과 작품이 서로를 마주보거나 빗겨 응시한다. 주고받는 시선만큼 수많은 이야기가 그 사이를 오고 간다. 그러나 그들의 이야기는 현재 공백으로 남아 있다. 그것이 묘한 외로움을 환기한 것이다. 화가는 그때의 시간을 시각적으로 진공 포장하고 투명하게 제시했다. 부재한 실존이 빚어낸 어떤 허무이다.

라캉 ((Jacques Lacan)의 응시를 언급하지 않아도 조원강의 그림은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를 이토록 잘 보여준다. 특히 드가의 소녀상(그녀는 뒷모습이다)은 체감의 강도가 강하다. 여러 시선의 복합적 교차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것이다. 조원강은 뉴욕 소재 미술관에 전시된 드가의 소녀상(뒷모습)을 그렸다.

혹은 헤드셋으로 설명을 들으며 소녀상을 감상하는 두 남성에 주목한다(아마도 소녀는 두 남성의 시선을 읽었거나 무심할 수 있다). 그리고 2019년 현재 마크 갤러리를 방문한 관객은, 소녀를 응시하는 두 남성의 시선을 엿본다. 혹은 마주한다. 이는 서사에서 이야기가 전달되는 과정과 흡사하다. 요컨대 실제 작가(조원강)와 내포 독자(두 남성) 그리고 실제 독자인 나와의 관계를 떠올리게 한다. 실제 작가 조원강은, 과거 자신이 카메라로 찍은 풍경을, 내포 작가(카메라의 눈)의 시선으로 담아낸다. 그리고 재현된 그림은 내포 독자(두 남성)와 주고받는 시선의 관계망에서 해석된다. 두 남성의 시선은 카메라로 자신들을 찍는 조원강을 엿본다. 그리고 2019년의 관람객은 두 남성(내포 독자)의 시선을 따라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혹은 이와 무관하게 작품을 읽는다. 작가의 시선, 카메라의 눈(두 남성과 시선을 교환했을), 그리고 유화를 보고 있는 현 관객의 시선이 상호 교차한다. 그림이 입체적인 이유는 이처럼 교차하는 시선 때문이다. 시선이 가는 곳에 마음이 가고 그때 이야기가 생성된다. 작가, 그리고 그림 속 두 남성 관객, 두 남성 관객과 실제 관객이 주고받는 시선, 그 사이를 이야기들이 미끄러진다. 그의 작품이 포스트모던 서사를 연상시키는 이유는 이 때문이리라.

화가가 드가의 소녀상을 관람하던 두 남성을 처음 카메라로 훔쳤을 때 오히려 두 남성이 화가 조원강을 훔쳐봤을 수 있다. 확실한 것은 소녀상이 그들을 매개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후에 그 사진을 유화로 재현했다. 이때 불현 듯 궁금해진다. 왜 그는 수많은 사진 중에 이 사진을 그림의 소재로 선택했을까. 시간이 제법 흐른 후, 사진을 붓으로 해석하는 그 마음은 또 대체 무엇인가. 카메라의 눈으로 재현된 과거를 유화로 재구성할 때, 화가는 현재와 과거, 이곳과 저곳을 종횡무진한다. 시선들이 시공간을 허물고 만난다. 붓에 의해 생명을 얻은 대상은 실감을 얻어 화가를 응시한다. 보는 주체와 보여지는 대상의 위계가 사라진다. 화가와 그림 속 인물은 서로가 (보는) 주체이자 (보여지는) 대상이다. 따라서 서로 평등하게 시선을 주고 받는다. 조원강의 그림은 이를 무수히 반복한다. 과거와의 단절과 연계를 무한 반복한다. 그래서 시간과 공간은 어쩔 수 없이 과거와 현재, 이곳과 저곳, 수많은 틈을 생성한다. 틈과 틈 사이는 심연보다 깊고 아득하다. 관객, 나는 그 안에 갇혔다. 그림을 그린 화가의 시선, 그의 그림 속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의 시선, 역으로 관객을 응시하는 작품의 시선,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까지.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 길을 잃거나 오히려 그 관계망 안에서 편안한 귀속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경험은 화가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인간과 반려견을 그린 작품에서도 발견한다. 그림 속 견주와 반려견은 도시 이곳저곳을 산책한다. 보호자와 반려견은 끈으로 강하게 연결됐고 시선은 대개 같은 방향을 향한다. 화가는 수많은 반려견(견종도 다양하다)과 견주(성별과 연령 그리고 인종 불문)의 동행을 다양한 재료(연필, 수채화, 유화 등)와 기법으로 정교하고 세밀하게 펼쳐 보인다. 이토록 다양한 구도와 색채, 그저 놀랍다. 수많은 이야기가 그야말로 만화방창이다. 그림은 반려견의 눈높이에 맞춰졌다. 아마도 이런 구성은 일찍이 없었으리라. 반려견의 시점이므로 견주들은 가슴 아래 혹은 다리 부분에서 포착됐다. 그러니 익명에 가깝다. 익명의 인물들은 반려견을 데리고 도시를 산책하거나 혹은 반려견이 향하는 방향을 함께 동행한다. 목적지가 정해져 있거나 혹은 정처없이 바람처럼 유랑할 수도 있다. 그들은 편견없이 사랑과 신뢰로 결속됐다. 그런데 독특한 것은 보호자가 멈춰 서 있을 때이다. 보호자가 누군가 만나 담소를 나누거나 잠깐 걸음을 멈추는 순간이 그것. 이때 반려견은 주위를 살핀다. 아마도 보호와 경계, 혹은 오고 가는 반려견과의 관계 욕구를 희망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자의 방향과 다른 곳까지 시선을 주는 것, 이런 까닭이리라.

견주와 반려견 소재로 한 좋아하는 그림 한 점(Relationship)을 소개하며 아쉽지만 이제 이야기를 끝내야 하리라. 반려견 한 마리가 큰 콘크리트 기둥 하단을 호기심 가득 기웃거린다. 화가는 치켜 올라간 반려견의 꼬리 끝 흰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다. 반려견은 킁킁거리며 수 많은 정보를 읽을 것이다. 방금 이곳을 지나쳐 흔적을 남긴 동료 혹은 이웃이리라. 물론 여기서도 견주의 얼굴을 보이지 않는다. 힘줄 드러난 손으로 끈을 힘껏 쥐고 반려견의 행동을 살피고 기다려 준다. 견주의 강렬한 붉은 색 티셔츠는 그의 왼쪽, 검푸른 화분 위에 장식된 붉은 색 안내판과 절묘하게 호응한다. 안내판은 마치 화분에서 힘차게 성장한 나무를 연상시킨다. 이로 인해서 화면은 묘하게 구획된다. 반려견이 후각을 가동하고 있는 잿빛 콘크리트 기둥은 화면 왼쪽에, 그리고 붉은 목재 안내판은 공교롭게도 반대편에 위치한다. 우연이지만 이것들은 마치 무대 장식처럼 견주와 반려견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보호하거나 일체시킨다. 강렬한 시각적 구성은 그들을 더욱 절대적으로 견고하게 연계한다. 다소 경직될 수 있는 화면은 그들 뒤로 걸어가는 검은색 의상 인물에 의해 여유를 찾는다. 긴장했던 관객의 시선은 편안하게 다른 곳까지 미친다. 그리고 인물이 향하는 곳 어딘가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질 것 같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반려견, 반려견과 반려견이 관계하며 생성하는 수많은 이야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이 한 공간에서 만났다. 공갤러리 전시(Relationship-2021)에서 전시장 한 쪽 벽면을 가득 채운 가로 10미터 대형 설치 작품 속에서 그들은 반갑게 조우한다. 이제 견주 혹은 산책자들은 전신을 드러내고 일상을 영위한다. 그들은 킥보드 혹은 자전거를 타기도 하고 이젤을 놓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며 새에게 모이를 주기도 한다. 물론 반려견 역시 주연이다. 견주들은 반려견과 산책하고 이웃의 견주와 만나 안부를 묻기도 한다. 이렇게 일상은 아름답고 따뜻한 풍경을 연출한다. 대형 파노라마. 장대하지만 위압적이지 않은 것은 소소한 일상의 풍경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담았기 때문이다. 대형작은 지금까지의 작업을 한 차례 마무리하고 재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그래서 그의 화력(畵歷)에서 기념비적 작품이라 하겠다. 작품을 보며 입가에 번지는 행복한 미소를 나는 감추지 못했다. 그의 다음 작업이 기대됐기 때문이다.

조원강, 그가 영원한 현역으로 남아 주기를, 그래서 그의 그림을 늘 행복하게 관람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조용훈(문화비평가)

The Gaze: Feeling a Sense of Attachment, Forming a Narrative
...........................................................................................................................................


2021. 6.6 - 7.3 Gallery Gong

Cho Won Kang is an artist who, despite heading into his mid 60s, does not cease to actively create works. We may call him an everlasting active-duty personnel. I have always been envious of his fervour. Come to think of it, the word “despite” is not appropriate in this instant. Almost all great artists are known to have continued painting until the end of their days, erupting like a volcano and releasing all that they had left in them to their art. Likewise, Cho too will continue to dedicate everything to his practice. It is quite natural for him to work so meticulously and tenaciously. In the past, he devoted himself to his practice as though he were a modernologist. One can describe him as ‘an iron hand in the velvet glove’. He struggled to confront the world which he was to bring to life through his works while maintaining a soft and elegant attitude. His subtle demeanour is an obvious result of this.

His ability to concentrate and be immersed in his practice is second nature to him. Therefore, to say that this comes naturally is not an overstatement. Looking back, he seems to have begun developing these characteristics around the time he entered college, when he first came face to face with painting in earnest. We indulged in our youth. We poured out frivolous nonsense about art and literature, stumbling in tears for no reason. While we welcomed our youth with vigour, we were insecure and weak on the inside. Pain and suffering persisted beneath the poor and fragile reality of the oppressive society at the time. It was a time in which people had to take action to take a new leap towards the future; but instead, were staggering around aimlessly. However, in these trying times, Cho continued to grow through drawing. While I was at the threshold, wandering around without purpose and wasting precious time, he continued to, and even today continues to stride forward.

I apologise for the lengthy introduction ahead of discussing the works of Cho. If anything, please understand it as a testament to our friendship. In fact, our friendship is what motivated me to write this text. I have always dreamt of writing about his works, and dare I say that I am now ready to do so. For context’s sake, I want to go back a couple of years, to Cho’s solo exhibition “The Gaze and The Artistic Masterpiece” (5.23-6.22, 2019), which took place at Gallery Mark, Seoul. The works on view included landscapes that the artist had translated from photographs, taken during his time in New York, to paintings. He captured various scenes with his camera, as though he were a hunter in search of prey. He tenaciously observed and absorbed his surroundings. Cho breathed life into dry, digitised still cuts of narrow New York alleyways and colossal museums through the warmth of layered oil paints. At first, I was overwhelmed at the sight of these works. I had to confront a sense of alienation that I could, in no way, fathom. How odd, I thought. Why had this rush of loneliness flooded over me, when the paintings depicted the congested streets of New York and crowded museums, filled to the brim with artworks and visitors?

The first thing that struck my heart was the fact that the scenes in the paintings were from times gone by. Those moments no longer exist in the present, yet I transport back in time through the paintings presented before me. What are they doing now? Are they still smiling? Perhaps they are suffering from an illness? The people, once roaming the museums and streets of New York, are now preserved within the frame of the canvas as static figures. Absent in the present, present in the past?the presence of absence. The extremity of this irony is what caused the arousal of alienation. As such, I am positioned in a postmodern situation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present and past, reality and fiction are no longer evident. I found myself at an intersection of image within image, that is text within text, experiencing a strange amalgam of absence and presence as well as reality and fiction. Appearing within the paintings is a collage of scenes: visitors stealing glances, artworks staring back at observant visitors, and artworks in juxtaposition with each other. There are as many narratives, as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gazes, being shared. However, these narratives exist in a vacuum, evoking a peculiar sense of loneliness. In other words, the author conserved the moments of the past, as vacuum-packed and transparent. The artist presents a certain emptiness through the absence of existence.

Even without mentioning Jacques Lacan’s theory of the gaze, Cho’s paintings?the painting of Edgar Degas’ “The Little Fourteen-Year-Old Dancer” (the girl facing away from the camera) in particular?clearly indicate ‘the viewer’ and ‘the viewee’. Through his paintings, Cho delivers the complex intersection of multiple viewpoints. The painting of Degas’ sculpture shifts the attention to the two onlookers listening to their audio guides (the dancer is either conscious of or indifferent to their gaze). In 2019, visitors of Gallery Mark observe, or are met with, the two men gazing at the dancer. The way that Cho delivers a narrative in his paintings can be likened to the process of storytelling. I am remind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artist (Cho), the implied spectator (the two men in the painting), and the actual spectator (me). Cho captures the scenes that he has taken in the past with his camera, through the gaze of the implied artist (the eye of the camera).

This reproduced image is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gazes exchanged between the actual artist, the actual spectator, and the implied spectator. The two men glance at Cho as he photographs them. In 2019, the visitors follow the gaze of these two men to either grasp the artist's intentions or to read the work independently. The gaze of the artist, of the camera, and of the current viewer standing in front of the painting, intersect. Where the gaze goes, the mind goes, and there, a narrative is born. The narrative slips through the gaze exchanged between the artist, the two men in the painting, and the visitors. For this reason, Cho’s works are reminiscent of a postmodern narrative.

As Cho stole a glance at the two men through his camera lens, the two men may have simultaneously stolen a glance at the artist. What is certain in that moment, is that the statue of the dancer acted as a mediator. Later, Cho recreates this moment as a painting. This makes me wonder, why, of all photos, did he choose to use this photo as the subject of his painting? What is the thought process behind interpreting a photograph with a paintbrush after the passing of that specific moment? When reproducing the past that has been captured by a camera into a painting, the artist traverses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gaze deconstructs time and space. The subject of the painting, brought to life with a paintbrush, gazes back at the painter. The hierarchy between ‘the viewer’ and ‘the viewee’ disappears. The figures in the painting are both the subject (seeing) and the object (being seen). Therefore, they exchange gazes equally. Cho’s paintings infinitely disconnect and connect with the past. For this reason, time and space inevitably create a divid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crevice between these fissures is deeper than the abyss. I, the viewer, am trapped within. The artist’s gaze, the gaze of the viewers appreciating a work of art in his painting, the gaze of the work of art looking back at the viewers, and my observant gaze. I have found that one can either get lost or find comfort within this exchange of gazes.

This exchange can also be found in the artist’s most well-known works, which depict dogs and dog owners. The artist illustrates dogs and dog owners wandering around the streets of New York. Usually gaz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owner and the dog are strongly connected by the leash. The artist shows the companionship of countless dogs (different breeds of dogs) and dog owners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race) in exquisite detail through various materials (watercolour, oil, etc.) and techniques. The diversity of colours and composition is simply amazing?full of vitality. The works are each at eye level in relation to the dogs. No such composition has existed prior to this. Since everything is set from the dog's point of view, the owners can only be seen from the chest down. Almost as though they are anonymous figures. These anonymous figures take their dogs for a walk through the city, accompanying them in the direction they are heading. There may be a fixed destination, or the pair may be wandering aimlessly like the wind. They are bound by love and trust without prejudice. The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interaction happens when the owner is standing still, the moment the owner stops to greet someone else, or simply stops walking for a while. In this moment, the dog begins to observe its surroundings for reasons unknown. Perhaps it is a desire for protection and vigilance, or a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other dogs. It must be for this reason that its gaze moves beyond the direction in which its owner is facing.

Unfortunately, upon introducing one of my personal favorites from the “Relationship” series, I must come to a close. A dog inquisitively observes the bottom of a large concrete pillar. The artist catches even the smallest detail from this scene, capturing the small white speck marking the tip of the dog’s wagging tail. The dog sniffs around to gather information, quickly recognizing the scent of a friend or neighbor who has just passed by and left a mark. The hand that holds tightly onto the leash reveals that the owner is waiting patiently for the dog. The owner’s bright red t-shirt perfectly complements the red signage located above a dark blue flowerpot to his left. The sign, appearing to be growing from the flowerpot, resembles a tree. As a result, the painting is strangely divided. The grey concrete pillar on which the dog's sense of smell is in full forc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hile the wooden signag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Despite the coincidental composition,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ainting function as stage props that center, protect, and unite the owner and the dog. The rigidity of the scene is alleviated by the figures walking behind them, suggesting that another story is unfolding in the direction that these figures are headed. The tense gaze of the viewer extends comfortably beyond the edge of the canvas. Countless stories are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dogs, and dogs and dogs.

At last, these characters were able to come together in Cho’s solo exhibition “Relationship” (2021) at Gong Gallery. The installation piece, spanning 10 meters in width, fills an entire wall of the exhibition space. Dog owners as well as passers-by are found enjoying various moments of their day to day, from cycling, to setting up an easel to paint, to feeding birds. Of course, the dogs also feature as main characters. Dog owners can be seen going for walks with their dogs and greeting other dog owners. Cho recreates the beauty and warmth of everyday life. Albeit grand in size, this panoramic landscape, which captures mundane and ordinary scenes that could go unnoticed with a loving gaze, is not at all overbearing. Rather, this large-scale work can be seen as monumental in testifying to the artist’s will to take a step forward in his practice. Looking at Cho’s work, I could not hide my smile as it spread over my face as I await to see what more he has in store for us.

Cho Won Kang? we pray that he continues to make art, and to continue bringing joy to those that encounter his art.

Cho Young Hoon(Art Critic)

시선, 마음이 가고 이야기가 생성된다
...........................................................................................................................................


2021. 6.6 -7.3, Gallery 공

60세 중반을 돌진하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왕성하게 작업하는, 영원한 현역, 조원강, 그가 늘 부럽다. ‘불구하고’라는 표현은 사실 적절치 않다. 유명세를 구가한 화가들의 대부분은 수명이 다하는 직전까지 붓을 놓지 않았다. 창작 욕구를 끝내 멈추지 않았고 오히려 활화산처럼 토해내고 발산했다. 조원강, 그 역시, 앞으로도 언제나 현재진행형일 것이다. 이토록 그가 집요하고 활달하게 그리고 치밀하게 작업에 몰두하는 것은 가히 생래적이다. 그동안 그는 고현학자처럼 묵묵히 작업에 전념해 왔다. 외유내강 같은 것. 그러니까 그의 내면은 그가 조형할 세계와 대면해서 치열하게 투쟁하지만, 부드럽고 기품있는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래서 그의 성정은 은연하다.

그의 몰입과 집중은 습관보다 오래됐다. 그러므로 생래적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는, 돌이켜 보면, 우리가 풋풋한 청년임을 선포할 무렵, 그러니까 그가 본격적으로 회화와 정면승부한 대학 때부터 비롯됐다. 그때 우리는 호기롭게 젊음을 만끽하거나 혹은 그저 탕진했다. 문학과 예술에 대해 치기어린 허언을 쏟아내고 까닭없이 눈물을 흘리며 엉거주춤했다. 혈기 왕성하게 젊음을 맞이했으나 실상 내면은 허약했고 부실했다. 억압적 사회, 그리고 슬프고 허약한 내면은 차라리 궁색했다. 비례해서 상처투성이의 시간이 계속됐다.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 문턱을 넘어야 했으나 힘에 부쳐 어물쩍거리며 배회했다. 그 시절, 그는 그리고 또 그리며 성장했다. 내가 경계에서 갈팡질팡할 때 그것조차 힘에 부쳐 엉거주춤 아까운 시간을 낭비할 때, 그는 늘 멋지게 앞으로 나아갔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도, 아니 앞으로도 진행형일 것이다.

그의 그림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에 앞서 이토록 서두가 긴 것을 용서하시라. 우정에 대한 표시로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이 글을 쓰게 된 동기 역시 이런 오랜 관계에서 비롯됐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그리고 언젠가 그의 작품을 더욱 알게 되면, 그때는 그 소감을 글로 남기고 싶었다. 그리고 감히 용기를 냈다. 얘기하자면 이렇다. 시간은 2년 전으로 소급한다. 마크 갤러리에서 그의 그림이 전시(<시선과 명화>(5.23-6.22, 2019))됐다. 전시작은 그가 뉴욕에 상주하면서 카메라로 포착한 다양한 풍경을 화면에 옮긴 것이다. 그러니까 그는 카메라를 들고 사냥꾼처럼 풍경을 포집했다. 집요하게 주변을 응시했고 갈증 난 짐승처럼 벌컥벌컥 흡수했다. 그가 카메라로 포착한, 그토록 많은 뉴욕의 거리 구석구석과 거대한 미술관 내부가 마침내 유화로 재현됐다. 건조하고 투명한 디지털은 따뜻한 유화로 생명을 얻었다. 전시장을 가득 채운 그 그림 앞에서 매우 아찔했다. 알 수 없는 지독한 소외와 대면했기 때문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그의 작품 속에는 거리를 걷는 수많은 인파뿐만 아니라 뉴욕의 미술관 관람객, 그리고 예술 작품으로 가득한데 극도의 외로움이라니.

가장 먼저 가슴을 저미게 한 것은 그림에 재현된 풍경이, 이미 오래 전 과거라는 사실이다. 그들은 지금 여기 없다. 그런데 그림에 등장해서 나와 만난다. 그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미소를 잃지는 않았을까. 혹시 병으로 고통받고 있지는 않을까. 한때는 뮤지엄과 뉴욕 거리를 산보했던 그들은 이렇게 정지된 상태로 프레임 안에 소환됐다. 부재하나 그들은 그때 현존했었다. 이른바 부재의 현존. 그 극도의 아이러니가 소외를 유발한 것이다. 이처럼 현재와 과거,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사라진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 나는 위치한다. 그림 속 그림, 그러니까 텍스트 속의 텍스트, 부재와 현존, 실재와 허구가 넘나드는 묘한 경험과 마주했다. 그림 속에 등장해서 시선을 주고받는 사람들 그리고 자신을 응시하는 관람객을 곁눈질하는 작품들. 더해서 작품과 작품이 서로를 마주보거나 빗겨 응시한다. 주고받는 시선만큼 수많은 이야기가 그 사이를 오고 간다. 그러나 그들의 이야기는 현재 공백으로 남아 있다. 그것이 묘한 외로움을 환기한 것이다. 화가는 그때의 시간을 시각적으로 진공 포장하고 투명하게 제시했다. 부재한 실존이 빚어낸 어떤 허무이다.

라캉 ((Jacques Lacan)의 응시를 언급하지 않아도 조원강의 그림은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를 이토록 잘 보여준다. 특히 드가의 소녀상(그녀는 뒷모습이다)은 체감의 강도가 강하다. 여러 시선의 복합적 교차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것이다. 조원강은 뉴욕 소재 미술관에 전시된 드가의 소녀상(뒷모습)을 그렸다.

혹은 헤드셋으로 설명을 들으며 소녀상을 감상하는 두 남성에 주목한다(아마도 소녀는 두 남성의 시선을 읽었거나 무심할 수 있다). 그리고 2019년 현재 마크 갤러리를 방문한 관객은, 소녀를 응시하는 두 남성의 시선을 엿본다. 혹은 마주한다. 이는 서사에서 이야기가 전달되는 과정과 흡사하다. 요컨대 실제 작가(조원강)와 내포 독자(두 남성) 그리고 실제 독자인 나와의 관계를 떠올리게 한다. 실제 작가 조원강은, 과거 자신이 카메라로 찍은 풍경을, 내포 작가(카메라의 눈)의 시선으로 담아낸다. 그리고 재현된 그림은 내포 독자(두 남성)와 주고받는 시선의 관계망에서 해석된다. 두 남성의 시선은 카메라로 자신들을 찍는 조원강을 엿본다. 그리고 2019년의 관람객은 두 남성(내포 독자)의 시선을 따라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혹은 이와 무관하게 작품을 읽는다. 작가의 시선, 카메라의 눈(두 남성과 시선을 교환했을), 그리고 유화를 보고 있는 현 관객의 시선이 상호 교차한다. 그림이 입체적인 이유는 이처럼 교차하는 시선 때문이다. 시선이 가는 곳에 마음이 가고 그때 이야기가 생성된다. 작가, 그리고 그림 속 두 남성 관객, 두 남성 관객과 실제 관객이 주고받는 시선, 그 사이를 이야기들이 미끄러진다. 그의 작품이 포스트모던 서사를 연상시키는 이유는 이 때문이리라.

화가가 드가의 소녀상을 관람하던 두 남성을 처음 카메라로 훔쳤을 때 오히려 두 남성이 화가 조원강을 훔쳐봤을 수 있다. 확실한 것은 소녀상이 그들을 매개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후에 그 사진을 유화로 재현했다. 이때 불현 듯 궁금해진다. 왜 그는 수많은 사진 중에 이 사진을 그림의 소재로 선택했을까. 시간이 제법 흐른 후, 사진을 붓으로 해석하는 그 마음은 또 대체 무엇인가. 카메라의 눈으로 재현된 과거를 유화로 재구성할 때, 화가는 현재와 과거, 이곳과 저곳을 종횡무진한다. 시선들이 시공간을 허물고 만난다. 붓에 의해 생명을 얻은 대상은 실감을 얻어 화가를 응시한다. 보는 주체와 보여지는 대상의 위계가 사라진다. 화가와 그림 속 인물은 서로가 (보는) 주체이자 (보여지는) 대상이다. 따라서 서로 평등하게 시선을 주고 받는다. 조원강의 그림은 이를 무수히 반복한다. 과거와의 단절과 연계를 무한 반복한다. 그래서 시간과 공간은 어쩔 수 없이 과거와 현재, 이곳과 저곳, 수많은 틈을 생성한다. 틈과 틈 사이는 심연보다 깊고 아득하다. 관객, 나는 그 안에 갇혔다. 그림을 그린 화가의 시선, 그의 그림 속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의 시선, 역으로 관객을 응시하는 작품의 시선,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까지. 그 사이에서 갈팡질팡 길을 잃거나 오히려 그 관계망 안에서 편안한 귀속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경험은 화가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인간과 반려견을 그린 작품에서도 발견한다. 그림 속 견주와 반려견은 도시 이곳저곳을 산책한다. 보호자와 반려견은 끈으로 강하게 연결됐고 시선은 대개 같은 방향을 향한다. 화가는 수많은 반려견(견종도 다양하다)과 견주(성별과 연령 그리고 인종 불문)의 동행을 다양한 재료(연필, 수채화, 유화 등)와 기법으로 정교하고 세밀하게 펼쳐 보인다. 이토록 다양한 구도와 색채, 그저 놀랍다. 수많은 이야기가 그야말로 만화방창이다. 그림은 반려견의 눈높이에 맞춰졌다. 아마도 이런 구성은 일찍이 없었으리라. 반려견의 시점이므로 견주들은 가슴 아래 혹은 다리 부분에서 포착됐다. 그러니 익명에 가깝다. 익명의 인물들은 반려견을 데리고 도시를 산책하거나 혹은 반려견이 향하는 방향을 함께 동행한다. 목적지가 정해져 있거나 혹은 정처없이 바람처럼 유랑할 수도 있다. 그들은 편견없이 사랑과 신뢰로 결속됐다. 그런데 독특한 것은 보호자가 멈춰 서 있을 때이다. 보호자가 누군가 만나 담소를 나누거나 잠깐 걸음을 멈추는 순간이 그것. 이때 반려견은 주위를 살핀다. 아마도 보호와 경계, 혹은 오고 가는 반려견과의 관계 욕구를 희망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자의 방향과 다른 곳까지 시선을 주는 것, 이런 까닭이리라.

견주와 반려견 소재로 한 좋아하는 그림 한 점(Relationship)을 소개하며 아쉽지만 이제 이야기를 끝내야 하리라. 반려견 한 마리가 큰 콘크리트 기둥 하단을 호기심 가득 기웃거린다. 화가는 치켜 올라간 반려견의 꼬리 끝 흰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다. 반려견은 킁킁거리며 수 많은 정보를 읽을 것이다. 방금 이곳을 지나쳐 흔적을 남긴 동료 혹은 이웃이리라. 물론 여기서도 견주의 얼굴을 보이지 않는다. 힘줄 드러난 손으로 끈을 힘껏 쥐고 반려견의 행동을 살피고 기다려 준다. 견주의 강렬한 붉은 색 티셔츠는 그의 왼쪽, 검푸른 화분 위에 장식된 붉은 색 안내판과 절묘하게 호응한다. 안내판은 마치 화분에서 힘차게 성장한 나무를 연상시킨다. 이로 인해서 화면은 묘하게 구획된다. 반려견이 후각을 가동하고 있는 잿빛 콘크리트 기둥은 화면 왼쪽에, 그리고 붉은 목재 안내판은 공교롭게도 반대편에 위치한다. 우연이지만 이것들은 마치 무대 장식처럼 견주와 반려견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보호하거나 일체시킨다. 강렬한 시각적 구성은 그들을 더욱 절대적으로 견고하게 연계한다. 다소 경직될 수 있는 화면은 그들 뒤로 걸어가는 검은색 의상 인물에 의해 여유를 찾는다. 긴장했던 관객의 시선은 편안하게 다른 곳까지 미친다. 그리고 인물이 향하는 곳 어딘가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질 것 같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반려견, 반려견과 반려견이 관계하며 생성하는 수많은 이야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이 한 공간에서 만났다. 공갤러리 전시(Relationship-2021)에서 전시장 한 쪽 벽면을 가득 채운 가로 10미터 대형 설치 작품 속에서 그들은 반갑게 조우한다. 이제 견주 혹은 산책자들은 전신을 드러내고 일상을 영위한다. 그들은 킥보드 혹은 자전거를 타기도 하고 이젤을 놓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며 새에게 모이를 주기도 한다. 물론 반려견 역시 주연이다. 견주들은 반려견과 산책하고 이웃의 견주와 만나 안부를 묻기도 한다. 이렇게 일상은 아름답고 따뜻한 풍경을 연출한다. 대형 파노라마. 장대하지만 위압적이지 않은 것은 소소한 일상의 풍경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담았기 때문이다. 대형작은 지금까지의 작업을 한 차례 마무리하고 재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그래서 그의 화력(畵歷)에서 기념비적 작품이라 하겠다. 작품을 보며 입가에 번지는 행복한 미소를 나는 감추지 못했다. 그의 다음 작업이 기대됐기 때문이다.

조원강, 그가 영원한 현역으로 남아 주기를, 그래서 그의 그림을 늘 행복하게 관람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조용훈(문화비평가)